학문 분야
철학, 윤리 사상사, 예술학, 심리학 사회학, 지리학, 고고학, 인류학 일본사, 아시아사, 서양사 언어학, 일본어학, 일본 문학, 중국 문학, 한국어와 한국 문화 |
교육 정책
인문학은 철학, 역사, 문학, 예술, 인간, 언어 등에 관한 다양한 학문 지식을 아우르며, 인간이 만들어 낸 문화와 사회의 가치를 글로벌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재검토하고 사회와 공동체의 다양한 측면을 현실에 맞게 탐구하는 학문입니다. 인문학 이수 과정은 인문학의 깊은 교양과 지성, 논리적 사고력을 습득함으로써 평생토록 배움을 계속할 수 있는 지적 능력과 글로벌화된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천력을 기르게 합니다. 어떤 환경에서도 인간의 문화와 사회의 본질에 맞게 주체적으로 사고 및 행동하고, 새로운 문화와 사회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.
입학 방침(학생 입학 방침, 입학 시 요구되는 능력)
- 지식/이해
- 고등학교 교과의 외국어, 일본어, 지리, 역사, 윤리, 수학, 과학, 기타 과목에 대해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지식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.
- 사고/판단
- 사물을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.
- 관심/의욕/태도
- 언어, 문학, 문화, 역사, 인간, 사상, 지역, 사회 등에 관심을 가지고 대학 수준에서 그를 탐구하고자 한다.
- 능력/표현
- 주어진 문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일본어로 알기 쉽게 표현할 수 있다.
교육 과정 방침(교육 과정 편성 및 실시 방침, 교육 과정 특징 및 특색)
- 입문 과목, 기본 과목, 확장 과목, 세미나 과목, 실천 과목, 학제 융합 과목으로 구분됩니다.
- 학생이 본인의 커리큘럼을 자유롭고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자의 관심에 따른 다양한 분야의 깊이 있는 전문적 학습을 보장합니다.
- 입문 과목에는 인문학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기초 인문학 과목, 일본어 능력 교육, 일본 문화 과목, 영어 활용 능력 함양 과목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
- 기본 과목에는 기본적인 지식과 방법론을 습득할 수 있는 입문 강좌가 모든 과목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
- 확장 과목에는 전문 기본 과목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본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더욱 전문화된 지식과 방법론을 익힐 수 있는 특강이 준비되어 있습니다.
- 세미나 과목에서는 소수 인원으로 기본 및 전문 내용의 토론 수업을 통한 교육이 진행됩니다.
- 실천 과목에는 실제 환경에서의 의사 결정 능력을 함양하고 사회적 적응력을 기를 수 있도록 사회 실천, 커뮤니케이션, 문화 연구 3 영역의 과목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
- 학제 융합 과목에서는 사회과학의 기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.
디플로마 방침(학위 수여 방침, 졸업 요구 능력)
- 지식/이해
- 인문 및 사회과학의 기본 지식을 지니고 있다.
- 언어, 역사, 문학, 예술, 인간, 사상 등 인문학적 전문 지식을 지니고 있다.
- 사고/판단
- 자신의 선택한 주제에 대해 각 학문 영역의 연구 방법론에 입각해 고찰할 수 이다.
- 글로컬 마인드를 기본으로, 사물을 다면적 관점에서 근원적으로 되물을 수 있다.
- 관심/의욕/태도
-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천 영역에서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.
-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 세계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다.
- 능력/표현
- 정보를 수집,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.
- 타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,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.